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생명화학공학과 이상엽 특훈교수 연구팀이 다양한 색상의 박테리아 셀룰로스를 단일 공정(원스텝)으로 생산하는 모듈형 공배양 플랫폼을 개발했다고 19일 밝혔다.

무지개색 박테리아 셀룰로스
무지개색 박테리아 셀룰로스

박테리아 셀룰로스는 특정 박테리아가 영양분을 소비하며 스스로 합성하는 천연 고분자 섬유다. 높은 순도와 강도, 우수한 보습력은 물론 생분해성까지 갖춰 기존 석유 기반 섬유를 대체할 수 있는 친환경 소재로 주목받고 있다.

연구팀은 색을 만드는 대장균과 섬유를 만드는 박테리아를 함께 키워 박테리아가 자라면서 자연스럽게 색이 입혀진 섬유가 한 번에 만들어지도록 하는 새로운 기술을 만들었다.

별도의 화학적 염색 없이 적색·주황·황색·녹색·청색·남색·자색 등 전 스펙트럼의 무지개색 섬유를 친환경적으로 생산하는 데 성공했다.

이번 기술은 기존 섬유 염색 공정을 대체할 수 있을 만큼 높은 잠재력을 지니고 있으며, 현장 공정에도 적용할 수 있는 대량 생산 가능성을 제시한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이상엽 특훈교수는 "지속 가능한 섬유 및 바이오소재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는 가운데 이번에 개발한 통합 생물제조 플랫폼은 다양한 기능성 소재를 별도의 화학 처리 없이 단일 단계에서 생산할 수 있는 핵심 기술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학술지 '트렌드 인 바이오테크놀로지'에 지난 12일 게재됐다.

저작권자 © 투데이 환경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