챗GPT와 제미나이의 대항마로 꼽히는 거대언어모델(LLM) 클로드 개발사 앤트로픽 공동 창업자가 한국을 전 세계에서 가장 기대되는 인공지능(AI) 시장 중 하나로 꼽았다.

23일 통신업계에 따르면 벤자민 맨 앤트로픽 공동 창업자는 다음 달 3일부터 이틀간 열리는 SK AI 서밋 2025에서 기조연설에 나설 예정으로 이에 앞서 SK텔레콤과 가진 인터뷰에서 이같이 밝혔다.

벤자민 맨 앤트로픽 공동 창업자/SKT 뉴스룸 캡처
벤자민 맨 앤트로픽 공동 창업자/SKT 뉴스룸 캡처

맨 창업자는 한국이 기술 인프라, 실행 속도, 품질 기준이 결합한 독특한 혁신 환경을 갖췄고 정부의 AI 강국 목표 아래 민관 협력이 강화되면서 혁신 속도가 더 빨라질 것으로 전망했다.

그는 앤트로픽이 개발한 클로드가 유용하고 무해하며 정직한 행동 원칙을 학습하도록 설계돼 추론의 투명성과 예측 가능성을 확보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클로드 최신 버전은 특히 코딩 분야에서 챗GPT, 제미나이를 능가하는 성과를 보이는 것으로 주목된다.

맨 창업자는 클로드를 코딩 업무에 도입한 회사들이 구체적 성과를 내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SK텔레콤과 협력을 통해 통신 분야 AI를 개발했다고 소개했다.

SK텔레콤의 통신 데이터를 학습시킨 후 모델의 정확도가 두 배 이상 올라갔다며 AI가 네트워크 용어를 이해하고 정확한 기술적 답변을 제시한다고 밝혔다.

통신사 요구에 따라 클로드를 맞춤화할 수 있도록 설계했고 한국어·영어·일본어·스페인어를 지원해 글로벌 통신사들이 단일 시스템으로 활용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SK텔레콤이 통신사들의 AI 연합체인 '글로벌 텔코 AI 얼라이언스'를 추진하며 언어와 규제 환경을 아우르는 글로벌 AI 생태계 확장에 앞장서고 있다고 평가했다.

그는 SK AI 서밋 2025에서 AI 에이전트가 단순한 작업 수행자를 넘어 인간의 협력자로 성장하는 변곡점에 서 있다고 강조할 예정이다.

AI 에이전트의 변혁적인 세 가지 요소로 조직의 맥락을 이해하고 경험을 통해 학습하는 상황적 지능, 복잡한 워크플로를 며칠 단위로 수행할 수 있는 장기 실행 능력, 추론을 투명하게 설명하고 사용자 스타일에 적응하는 협업 능력을 꼽았다.

저작권자 © 투데이 환경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