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개발 논란으로 지난해 사업자가 자진 철회한 부산 남구 이기대 아파트 건립 사업이 다시 추진되는 가운데 이번에는 과거와 달리 경관 심의를 받을 것으로 보인다.
27일 부산시 등에 따르면 남구는 아이에스동서 자회사인 엠엘씨가 주택사업을 추진하는 용호동 973번지에 대해 '부산시 주택사업 공동위원회'의 심의 개최를 요청하면서 경관 부분도 살펴봐야 한다고 의견을 냈다.
사업자도 지난 6월 남구청에 재신청을 하면서 경관 심의를 받겠다는 입장을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부산시는 이르면 다음 달을 포함해 올해 하반기 중에는 주택사업 공동위원회를 열기 위해 내부 검토 작업을 하고 있다.
지난해 2월 해당 사업이 주택사업 공동위원회 심의를 조건부로 통과했을 때 경관심의가 이뤄지지 않아 여론의 비판을 받았다.
이 아파트는 천혜의 절경을 자랑하는 이기대 초입 들어서게 되지만 경관 심의에 대한 법적 의무가 없어 '건축, 교통, 개발행위허가' 3개 분야에 대한 심의만 이뤄졌다.
남구 관계자는 "지난해 논란이 있었던 만큼 이번에는 경관 심의가 필요하다고 의견을 냈다"고 설명했다.
사업자는 지난해 사업안을 수정해 경관에 대해 많은 고려를 했다고 주장한다.
기존에는 아파트 3개 동을 각각 31층, 30층, 29층 규모로 짓겠다고 밝혔지만 이번에는 동 수를 2개로 줄이고 높이를 모두 28층으로 맞췄다.
동 간격을 기존 30m에서 40m로 늘리고, 전체 가구 수도 308가구로 11가구 줄였다고 밝혔다.
교량과 도로 폭도 기존 10m에서 15m로 늘리겠다는 안에서 20m로 확대 변경했다.
사업자 측은 "특별건축구역에 버금가는 설계를 했고, 이기대 예술공원의 일부로 녹아드는 유기적인 디자인을 채택했다"면서 "옹호 별빛 공원으로 가는 앞부분에 공용 공간도 조성할 것"이라고 밝혔다.
부산 시민단체는 경관심의가 면죄부가 돼서는 안 된다며 제대로 된 심의를 촉구하고 있다.
도한영 부산경제정의실천연합회 사무처장은 "천혜의 자연환경을 가진 이기대 입구에 아파트를 짓는다는 것 자체가 이해하기 힘들고, 이기대 예술 공원이나 용호 부두 재개발 등 종합적인 그림과도 맞지 않다"면서 "사업 내용에 큰 변경이 없고, 경관 문제가 여전히 해소되지 않은 상태에서 1년 만에 사업을 재개하겠다는 것이 이해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서지연 부산시의원은 "1년 전 심의에서 조건부로 통과했을 때와 지금은 많은 것이 달라져 있다"면서 "금융 자사고가 해당 부지 바로 앞에 들어오는 것으로 결정 났고, 당시 파빌리온 문제로 확정되지 않았던 이기대 예술공원 사업 예산도 확정돼 이번 심의에서는 교통, 경관, 정책 영향 등을 종합적인 관점에서 꼼꼼히 살펴봐야 한다"고 밝혔다.
